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요가 지도, 흔들림이 잦아드는 요가 수련을 향하여

by 새벽쌤 2023. 1. 28.

 

요가 지도법

 

요가 지도자 자격증을 취득한 후 거의 바로 요가 수업을 시작했습니다. 당시에 초보 강사였던 저는 지도자 과정에서 실습 당시 접하지 못한 초보자부터 숙련자까지 다양한 난이도의 수업을 원활하게 이끌어가는데 꽤 오래 애를 먹었던 기억이 납니다. 또 지도자 과정이 끝난 당시의 저는 숙련자 난이도의 수련을 계속해오고 있었기 때문에 다른 강사가 어떻게 난이도별로 수업을 이끌어가는지, 초보자와 숙련자에게 각각 어떤 보조적인 지도법을 활용하는지 확인할 길이 없었습니다. 요가 관련 서적과 다른 강사들의 경험을 통해 차근차근 배울 수 있었지만 초보 강사를 위한 요가 지도법을 제공하는 곳이 있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항상 있었습니다. 코로나 직후, 다른 직종에 근무하게 되면서 티칭을 잠시 쉰 적이 있었습니다. 그 시간 동안 일반 요가원에서 다양한 난이도의 회원들과 초급자 또는 중급자를 위한 요가 수업을 들으며 다양한 티칭법과 시퀀스에 대해 배울 수 있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좋은 티칭법과 시퀀스에 대해서도 배울 수 있었지만 강사가 경계해야 할 멘트 혹은 하고 나면 다칠 가능성이 있는 시퀀스에 대해서도 배울 수 있었습니다. 한 시간 수업이라면 어떤 테마를 가진 수업인지, 왜 그 자세를 그곳에 배치하는지, 각 자세의 연결에 어떤 이유가 있는지 충분히 고려하고, 공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것이 무엇보다 안전하게 요가 수업을 지도할 수 있는 길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시중에 고급 숙련자를 위한 수업이라든지 전문적인 요가 해부학 서적은 많지만 초보 강사들이 궁금해하는 기본적인 지도법에 관한 정보는 부족하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배우고, 터득해 온 것들이 요가 지도의 전부도 아니고, 개인적인 견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제 막 요가 지도의 세계에 입문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많은 강사님들께 도움이 되고자 글을 쓰려고 합니다. 다양한 지식과 정보와 경험이 오가는 장이 되길 바랍니다.

 

요가 자세 교정 보조 ( hands on)

개인적으로 요가 자세에서 교정 보조란 필수적인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자격증을 취득한 곳의 선생님께서는 정말 따듯하고, 안전한 핸즈온을 해주셨습니다. 그게 지금까지도 저의 가장 큰 행운이라고 생각합니다. 동료 강사들과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핸즈온을 하다 회원님과 언쟁이 있었다거나 핸즈온을 하지 말아 달라는 요청을 듣고 시무룩해진 동료도 있었고, 핸즈온을 하다 회원님이 다쳐 병원에 간 일이 있다는 이야기를 종종 듣고 했습니다. 저 역시 아쉬탕가를 수련하던 중에 컴업을 도와주시려던 강사님의 핸즈온에 허리를 다친 적이 있습니다. 그럴 때면 핸즈온의 중요성이 더욱 절실해지곤 합니다. 핸즈온은 결국 보조적인 행위일 뿐이지만 좋은 핸즈온은 수련생으로 하여금 더욱 과감하게 나아갈 힘을 얻게 하기도 하고, 안정감 속에서 더욱 깊어지게 만드는 힘을 얻게 하기도 합니다. 숨을 헐떡거리다가도 선생님의 손이 들어오면 호흡이 편안해지기도 하고, 내 몸의 최대 역량을 선생님의 손을 통해서만 확인하기도 합니다. 초보자 같은 경우에는 잘못된 자세를 교정받을 수도 있고, 선생님의 손에 의해 이 자세가 어떤 자세인지 감을 잡기도 합니다. 또한 도구를 이용한 보조일 경우에도 초보자는 물론 숙련자까지 다양한 방법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앞으로 각 자세마다 어떤 보조가 필요할지 혹은 필요하지 않을지 나누고자 합니다. 

 

난이도별 자세 접근법

저는 이제 다른 강사의 수업에 들어가면 중급 또는 고급 숙련자 관련 멘트에 따라 움직이지만 강사님께서 초보자에게는 어떤 멘트를 하는지 항상 귀를 기울이고는 합니다. 또 그 멘트를 했을 때 회원님들이 얼마나 헷갈리지 않고, 이해해서 따라 하시는지도 곁눈질로 확인하곤 합니다. 초보 강사 시절 그냥 개별로 난이도에 맞는 멘트를 하면 된다고 생각했던 것이 얼마나 큰 착각이었는지 첫 번째 수업에 들어가서 바로 알 수 있었습니다. 초급자도 고급 수련자도 우왕좌왕하는 모습을 보며 자괴감에 빠지기도 했습니다. 어디까지 초보자를 끌고 갈 것인지 어디에서 숙련자를 위한 시간을 마련해 줄 것인지도 중요하고, 더 나아가게끔 이끌어가는 것 역시 중요합니다. 또한 난이도별로 어떤 보상 자세를 얼마큼 줄 것인지도 중요합니다. 전굴 뒤에 후굴, 후굴 뒤에 비틀기와 전굴, 측굴의 균형성. 이와 같은 것을 이야기하여 초보 강사들이 좀 더 수월하게 시퀀스를 짜고, 수업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요가에 관한 다양한 지식과 경험을 오래 나누어

요가를 하는 모든 분이 흔들림이 잦아드는 매트 위의 시간을 경험하기를 바랍니다

나마스테 -